알라딘

헤더배너

서양철학 로드맵

eBook으로 보기 저자별 추천 목록 다운로드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 1724 ~1804
임마누엘 칸트의 삶:

칸트는 1724년 동(東)프로이센의 중심 도시 쾨니히스베르크에서 태어났다. 1740년 쾨니히스베르크 대학에 입학하여 1746년에 졸업하고 1755년 대학의 사강사(私講師)로 강단에 서서 1770년 쾨니히스베르크 대학의 ‘형이상학과 논리학’ 강좌의 정교수가 되었다. 1781년에 대저 『순수 이성 비판』을 출간하고 이어서 1783년에 『(학문으로 등장할 수 있는 모든 장래의) 형이상학(을 위한) 서설』, 1785년에 『윤리 형이상학 정초』, 1788년에 『실천 이성 비판』, 1790년에 『판단력 비판』, 1793년에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 1795년에 『영원한 평화(를 위하여 — 하나의 철학적 기획)』, 1797년에 『윤리 형이상학』(1편 「법 이론의 형이상학적 기초 원리」, 2편 「덕 이론의 형이상학적 기초 원리」)』등 역저를 잇따라 내놓았다. 그사이 그는 1786년과 1788년 두 차례에 걸쳐 대학 총장을 역임하였다. 평생 독신으로 지내다가 1804년 80세를 앞두고 세상을 떠났는데 임종 직전 물에 탄 포도주를 조금 입에 댄 후, “좋다(Es ist gut)”라는 마지막 말을 남겼다고 한다. 후세 사람들은 기념 동판에 “내 위의 별이 빛나는 하늘과 내 안의 도덕 법칙”이라는 그의 『실천 이성 비판』 결론 장의 한 구절을 새겨 넣고, 그를 여전히 기리고 있다.

임마누엘 칸트의 사상:

칸트 철학의 궁극적인 관심사는 ‘인간은 무엇이고, 무엇이어야 하는가?’이다.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칸트는 우선 세 가지 물음, 첫째로 인간인 ‘나는 무엇을 인식할 수 있는가’, 둘째로 ‘나는 무엇을 행해야만 하는가’, 셋째로 ‘나는 무엇을 희망해도 좋은가’를 던지고, 이어서 첫 번째와 두 번째 사이에 ‘나는 무엇에서 흡족함을 느낄 수밖에 없는가?’를, 그리고 끝으로 ‘우리가 인간이기 위한 최선의 조건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이 물음들은 결국 진리(眞), 선(善), 미(美), 성(聖)과 인류 평화(和)의 가능 원리를 찾고자 하는 것으로서, 칸트는 이 다섯 가지 주제를 ‘이성 비판’의 방법을 통해 탐구하고 그 결실을 그의 57년간(1747~1803)의 학문 활동에 걸쳐 70편의 논저에 담아냈다. 그리고 그것들이 그의 존재 형이상학(존재론・인식론), 도덕 형이상학(윤리학), 미학(예술 철학), 종교 철학, 정치・법철학의 골격을 이룬다. ‘이성 비판’이라는 칸트의 철학 방법은 계몽주의 시대정신의 반영인데, 그 결실로 얻어진 칸트의 ‘비판 철학’은 그 자체로 계몽 철학의 전형이다. 코페르니쿠스–갈릴레이–뉴턴이 과학에서, 로크–루소–몽테스키외가 정치 사회 이론에서 계몽 정신을 구현했다면, 칸트는 철학의 본령인 형이상학에서 그 학문성을 놓고 맞대결한 데카르트–스피노자–라이프니츠의 진영(이성주의)과 로크–버클리–흄의 진영(경험주의) 사이에서 제3의 길을 개척함으로써 ‘진정한’ 계몽 정신을 시현했다. 게다가 그의 철학적 사유는 저들 자연 과학적, 정치 이론적, 형이상학적 사상들뿐만 아니라 현실 사회의 문물 제도의 변화, 국가 형태의 변천과 세계 내에서 국가들의 역학적 관계까지도 항상 그 시야에 두고 있었으니, 칸트는 참으로 ‘세계 시민적’ 계몽주의자였다. 이처럼 칸트의 철학은 계몽 철학의 정점에 서 있다. 그러나 정점은 오르막의 끝이자 내리막의 시작이다. 계몽 철학으로서 칸트의 철학은 모든 참된 발언의 본부를 인간 이성에 두지만, 그 이성은 자기비판을 통하여 한계를 자각한 이성이다.

임마누엘 칸트, 단계별 읽기:
step1,2,3 step1 step2 step3